배고픈 개발자 이야기

디지털 비즈니스 가속화를 위한 핵심기술 전략 포럼 본문

세미나, 포럼

디지털 비즈니스 가속화를 위한 핵심기술 전략 포럼

이융희 2019. 9. 3. 13:00
728x90

DIGITAL BUSINESS STRATEGT FORUM 2019 입장

디지털 비즈니스 가속화를 위한 핵심 기술 전략과 사례

-박서기

1.디지털 비즈니스 가속화르 위한 성공 방정식은 무엇인가?

기술자체를 먼저 고민한 사례가 없음 - 성공한 사례중

소비자의 패턴을 파악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

 

 

Optimization

 

생산성과 현재 매출 강화

더 향상된 고객 경험 창출

 

 

Transformation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매출 창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 추진방법 - Fast fish

:새로운 세상은 큰물기가 작은 물고기를 먹는게 아니라 빠른 물고기가 느린 물고기를 먹는다.

빠른 물고기가 되기 위해서 - (사고방식+실행) x 기술 = 역량 -> 성과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것) ex) kakao, 직방 : 소비자가 보고 우와해야함

 

- technolygy를 도입만 하고 기업에 맞고 다듬지 않는다.

- 사업준비 - customer experience plattform : 고객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는 회사는 성공된 사업이 될 수 있음

- 1.Cloud시스템으로 100%갈아 엎어야함

- 2.API기반 서비스가 도입되어 있어야 고객의 요구에 맞게 빠른 개발이 가능

 

 

고객경험 중심으로 서비스하자

 

기존 : BUY MY STUFF -> (고객의 문제를 정확히 짚어 줘야함) HERE TO HELP

내가 고민하지 말고 고객의 고민을 먼저 봐야한다.

 

예) toss 3개월 동안 출근을 안하고 커피만 먹으러 다니며 손님들을 분석하고 2주에 한번 회의만함 그런데 간단하게 인증없는 결제를 필요로 하여 toss가 만들어짐

 

 

 

사례1) Capital One

 

지금 방식으로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개발하는데 따라가지 못함

  1. '사고방식+실행' = 스타트업 스타일로 변신

  2. 역량 강화 위해 sw개발회사 인수합병

  3. Agile 개발 방식, RESTful API, 마이크로서비스, 오픈소스파운데이션 기반 개발 등 최신 아키텍처 수립

사례2) John Deere

고객기반의 혁신을 하는데 가속화하는데 기술이 들어가야 하는게 제일 중요하다고 말씀하심

내부에서 고민한게 하나도 없음, 고객의 요청을 듣다보니 농장 -> 스마트농장

엔진에 센서를 달아 조금 비싸게 팔고 소비자에게 고장나기 전에 먼저 고쳐준다고 했음(엔진룸 센서의 빅데이터로 고장날걸 예측하여 먼저 고쳐줌) -> 만족하냐고 물어보고 요청사항들을 피드백 받음, -> 제초제, 비료를 인공지능 센서로 이미지 디텍션하여 뿌려줌 - 모두 자기가 고민x 고객의 요청사항을 들어 만듬

-고객이 원하는걸 증명하지 못한다면 사업을 하지마라

2.디지털 비즈니스 가속화를 위한 핵심 기술은 무엇이고, 성공사례가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

 

 

Cloud Security for Digital Transformation

한국 IBM 윤영훈 상무

무엇이 디지털 비즈니스냐?

내/외부 상호작용을 개선함으로써 경쟁력을 가짐(DATA <-> INTELLIHENCE CORE)

참여자-구성요소-접근자 : DATA기밀성, 무결성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을것인가

디지털 비즈니스:클라우드 - 스피드, AI/블록체인을 빨리 전복, 연결성

다수의 public cloud, private cloud활용

 

클라우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워크로드, 데이터의 이동의 원할함을 고려해야함

-비용절감을 위해 클라우드를 도입(비용) -> 클라우드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개발(빠른 개발 빠른 고객 니즈에 대한 반응(가속화)) -> 앱, 워크로드, 어플리케이션 ai, 블록체인을 멀티클라우드로 활용(혁신)

91%가 보안분야를 뽑음

multi cloud를 운용 - data 센터보다 복잡, 특성 유지 관리하는 부분이 동일하지 않음, 고객의 보안에 대한 책임, 실제 서비스 보안에 대한 책임이 조금씩 다르게 됨

클라우드로 넘어갈 때 기존의 서비스 다 쓸 수 있어? 하는 고민

클라우드 보안에 대한 우려

클라우드 보안은 고객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간 책인임 공유 모델

1.고객 주도 보안영역

접근 권한관리, 애플리케이션 보안, 네트워크 보안, 데이터 보안, 가시화 및 인텔리전스, 보안운영

2.플랫폼 제공 보안 서비스

기본 계정 관리, 네트워크 보호, 데이터 암호화, 취약점 패치, 모니터링 로그, 워크로드 관리

 

비용절감, 관리시간 절감, 책임절감

클라우드 도입.적용 패턴에 따른 고려 사항

1.migrate workloads to the cloud, 정책/규제/보안

2.cloud-native applications 클라우드 개발에 따른 api연동 인증을 어떻게 처리할지

3.멀티 클라우드 환경운용 - 지적자산 암호화/접근자 제어 고민해야됨

cloud를 사용한다 -> 90%이상은 container 기반으로 개발 : 보다 빨리 비즈니스 서비스를 개발, 재활용 가능

-컨테이너 이미지 안전보장, 레지스터(접근제한) 안전성, 서비스만드는 과정, 컨테이너 자체보안, host보안

ex) 고객 사례 - e-commerce 보안이 똑같다면 구매절차가 간편한것을 선택

 

디지털 시대에 자동화가 만들어 내는 더 나은 세상

오토데스크코리아 정종호 상무

수요 증가의 필연성 -> 자원 감소의 현실

설계-시공-제작 자동화: 시뮬레이션가능 (건축, 영화, 게임)

자동화를 통한 더 나은 기회를 고려해야함 (자동화를 통한 일자리가 줄어드는것보다)

 

 

오전 포럼 끝 => 런치타임

LUNCH

 

Comments